본문 바로가기
여성학자 정희진

[논문] ''아내폭력'' 경험의 성별적 해석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by eunic 2005. 2. 28.

이화여자대학교
1999학년도 석사학위 청구논문

'아내폭력' 경험의 성별적 해석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가족 내 성역할 규범을 중심으로-

여성학과
정희진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아내에 대한 폭력이 해석되는 방식과 시각을 여성주의 입장에서 문제제기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동안 '아내폭력'은 남편과 아내의 성별 규범(gender)을 그대로 인정한 상태에서, 피해여성 개인에 대한 인권 침해의 문제로 인식되기보다는 남편의 폭력으로 인한 가족의 해체를 우려하는 차원에서 주로 접근되어왔다. 가정폭력방지법 제정 과정, '아내폭력' 추방 운동, 기존 연구 등에 나타난 '아내폭력'에 대한 담론은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가족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처럼 '아내폭력'은 성 평등(gender equality)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가족 보호의 입장에서 논의되어왔다. '아내폭력'에 대한 가족 중심적 접근은 가족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한국사회에서 '아내폭력' 문제를 가시화 하는데 매우 설득적인 논리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아내폭력'이 발생하고 있는 가족 제도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는 결여하고 있다. 하나의 단위(unit)로서 가족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기존의 '아내폭력' 추방 논리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가족 구성원 사이의 권력 관계를 은폐한다. 본 연구는 성별 제도(gender system)에 의한 가족 구조 내 남녀의 불평등한 지위와 역할 규범을 비판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아내폭력' 문제는 성(차)별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사회적 대응 역시 피해여성 중심이 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아내폭력' 문제에 있어, 가부장적인 가족 유지를 중심으로 한 대책은 피해여성의 인권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을 여성인권 침해가 아니라 가족 해체의 문제로 인식하는 기존의 시각에 도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의 정체성을 사회적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아내, 어머니 등 가족 구성원으로서만 규정하는 우리사회의 구조가 어떻게 '아내폭력'의 발생, 해석, 대응, 재생산 과정에 관련되어 있는지를 가족 내 성 역할 규범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기존의 '아내폭력' 담론을 여성주의 연구 방법론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가해남편과 피해아내 50명에 대한 심층 면접과 문헌 연구를 병행하였다. 각기 다른 입장의 증언자(연구 대상자)들을 면접하고 그들의 언어를 해석하는 과정은 '객관성'의 문제, 연구 과정의 윤리, 여성의 경험과 고통을 둘러싼 정치학 등 여성주의 연구 방법의 여러 가지 쟁점을 제기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내폭력'은 부부관계의 극단적, 일탈적인 현상이라기보다는 가족 내 남편/ 아내의 성 역할 규범으로부터 발생하는 일상적인 사건이었다. 가해남편은 '아내폭력'을 아내의 '잘못'을 바로 잡아야 하는 남편으로서의 권리와 의무, 아내와 관계 유지 방법 등 남편 역할 수행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가해남편이 주장하는 아내를 때릴 수밖에 없는 이유와 내용은 모두 여성의 가족 내 성 역할 규범과 관련되어 있다. 즉 폭력의 이유는 성별화(性別化, gendered)되어 있었다.

개인으로서 남성과 여성은 가족 제도를 통해 남편과 아내라는 성별화된 정체성, 지위, 역할, 노동을 수행하는데, '아내폭력'은 남성과 여성의 성별화된 역할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며 그 역할 규범에 의해 정상화된다. 그러므로 '아내폭력'은 성별 분업에 기초한 현재의 가족 구조 자체에 내재되어 있다.

한편 폭력 당하는 아내는 남편의 폭력을 부부생활의 일부로 수용하면서 사소화 하거나, 질병 등 다른 종류의 문제로 치환하여 인식함으로서 폭력을 견디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가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2) 피해여성들은 사회적 주체로서 폭력이 발생하는데 상당한 역할을 하는데, 가족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사회의 성별 권력 관계는 이러한 아내의 '역할'을 폭력의 '책임'으로 전환시킨다. 이리하여 폭력의 피해자인 아내는 남편의 폭력 행위를 해결할 것을 요구받게 된다. 피해아내는 남편과 주변의 요구대로 아내로서의 성 역할에 더욱 충실함으로서 남편의 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이러한 아내의 노력은 가족이라는 권력 관계의 폐쇄 회로 속에서 폭력 발생 지점을 이동, 순환시킬 뿐 폭력 그 자체를 멈추게 하지는 못하였다.

피해여성의 탈출 의지는 아내/어머니 역할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가족 구성원으로서 정체성에 회귀함으로서 폭력을 벗어나지 못했다. 여성의 가족 내 성 역할 수행이 여성의 인권보다 우선시 되면서, 어머니/아내로서의 '도리'에 의해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맞지 않을 권리'는 유보되거나 사소화 되었다.

또한 우리사회 전반의 '아내폭력'에 대한 성(차)별적 담론은 피해여성의 저항과 자기 방어를 남편에 대한 '공격'으로, 피해여성이 폭력 가정을 탈출하는 것을 '가정 파괴'로 의미화 하였다. 결국 불평등한 성 역할에 의해 유지되는 현재의 가족 제도 아래서는, 남편의 폭력에 대한 아내의 순종과 저항 모두가 '아내폭력'을 재생산하였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의 지속 구조에 개입한 가족 제도와 성 역할 규범을 규명함으로서 기존의 가족 중심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아내폭력'의 발생, 수용, 해석, 대응은 가족 제도를 중심으로 성별화(gendered)되어 있었다. 여성의 아내 역할 수행 여부가 남편에 의해 폭력의 이유가 된다는 사실은, 여성의 가족 내 성 역할이 여성 자신을 위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 즉 '아내폭력'이 남편과 아내의 역할 규범에 의해서 정상화되고 있는 현실은, 아내/남편 역할 수행이 생물학적 성차(性差)에 따른 자연스런 분업이 아니라 폭력에 의존해 유지되는 불평등한 권력 관계임을 보여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여성의 사회적 정체성과 역할을 가족 구성원으로만 한정하여, 여성을 사적인 존재로 규정하는 현재의 가족 제도에서는 '아내폭력'이 근절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아내폭력' 문제를 둘러싸고 여성의 권리가 가족의 유지와 갈등하는 상황 자체가 현재의 가족이 여성에게 억압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내폭력' 해결 방식에 있어서 가족 구조의 성 차별성을 문제화하지 않는 가족 가치에 대한 강조는, 오히려 문제의 원인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아내폭력'의 사회적 대책이 되기 어렵다.


참 고 문 헌

* 일반 문헌

김은실(1996), "공사 영역에 대한 여성인류학의 문제제기 : 비교문화적 논쟁",『여성학논 집』13집,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1996), "시민사회와 여성운동", 한국학술단체협의회 주최 심포지움 발표문, 미간행

-----(1998), "여성주의와 일상의 정치화",『삶의 정치』, 대화출판사

-----(2000), "인권, 문화, 여성 : 여성인권을 논하기 위한 문화 비판 시론", 『철학과 현 실』, 44호

강영안(1997), "고통의 현상학 - 박완서의「한 말씀만 하소서」",『삶과 기호』, 한국기호 학회 편, 문학과지성사

강정숙(1999), "김소란-난 아무도 만나기 싫어", 한국정신대연구소/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

회 편,『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 '위안부'들 3』, 도서출판 한울

공미혜(1997), "가족주의와 가부장적 테러리즘으로서의 아내구타",『가족학논집』9집, 한국 가족학회

-----(1999),『한국의 가부장적 테러리즘: 아내 구타자 프로그램』, 도서울판 하우

구자순(1995), "가족 개념의 역사",『사회학연구』8호, 한국사회학연구소

국회여성특별위원회(1998),「여성관련 법률의 입법과정 및 향후과제」

권귀숙(1998),『신혼 여행의 사회학』, 문학과지성사

권오남/박경미(1995),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한국여성 학』11집, 한국여성학회

김광일 편(1988),『가정폭력』, 탐구당

-----(1985), "아내구타에 대한 태도 조사",『정신건강연구』3집, 한양대 정신건강연구소

-----(1989), "가정폭력과 사회",『대한의학협회지』32권 9호, 대한의학협회

김광일/문경서(1994), "구타당하는 아내의 무기력, 자아강도 및 자아기능에 관한 연 구",『여성연구』,봄호, 통권 42호, 한국여성개발원

김규원(1995),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가족학논집』제7집, 한국가족학회

김성례(1999), "구술사와 여성주의 방법론", 99' 한국문화인류학회 제 6차 워크샵 발표문 (미간행)

김영아/이죽내(1995), "아내 구타남편의 정신사회적 특성",『신경정신의학』34권 6호,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김예숙(1997), "혼외의 성과 법적 규제",『현대사회와 성윤리』,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김은희(1995), "문화적 관념체로서의 가족 : 한국도시 중산층을 중심으로",『한국문화인류 학』27집 , 한국문화인류학회

김인숙/김혜선/신은주(1997),『여성운동과 사회복지』, 나남출판

김재엽 외(1999),「한국가정폭력 실태와 행위자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 사회복지연구소

김재엽(1998), "한국 가정폭력 실태와 사회계층 변인과의 관계 연구",『한국사회복지학 』, 35호, 한국사회복지학회

김재엽/이서원(1997), "열등의식과 성역할 태도가 아내구타에 미치는 영향과 치료 모형에 관한 연구-영세 빈곤 가족을 중심으로",『한국사회복지학』33권, 한국사회복지학회

김정옥/이동수/윤병철/문수백(1993), "가족폭력 관련 변인과 결혼 불안정성과의 관계 분석", 『가족학논집』5집, 한국가족학회

김정옥/전형미/정복희(1993), "아내학대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여성문제연구』21집,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소

김현미(1997), "페미니즘과 문화연구는 행복하게 만나는가",『현대사상』3호

김혜선(1996), "경찰 80.6%, 집안에서 해결하라",『여성의 눈으로』5호, 한국여성의전화

-----(1999), "경제위기와 가정폭력", 서울특별시/한국여성학회 공동 심포지엄 자료집

김화숙/이은아/이정주/정희진(1999), "여성폭력에 관한 시민의식조사",「폭력 없는 사회 가꾸기 토론회 - 99 여성폭력 실태에 대하여」, 한국여성단체연합, 미간행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1998), "가정폭력 예방 길잡이"

-----(1999),『여성백서』

또하나의문화(1992),『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제9호, 도서출판 또하나의문화

문소정(1995), "미국 페미니즘 가족이론과 한국의 가족과 여성",『여성학연구』제6권 제1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민경자(1999), "성폭력 여성운동사",『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국여성의전화연합 편, 한울

박기자(1996), "아내구타, 가부장적 테러리즘의 권력과 통제",『여성연구』7집, 부산여대 여 성문제연구소

박민자(1994), "한국 가족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일상의 삶 그리고 복지의 사회 학』, 이화사회학연구회 편, 사회문화연구소

박재신 편(1992),『여성은 꽃으로도 맞을 수 없다 - 아내구타의 실상과 대책』, 들불

박주현(2000), "사회복지시설의 쟁점과 대안 - 입소 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인권재단 편,「제주인권학술회의 2000」, 미간행

법무부(1999),「가정폭력관련법 시행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세미나」, 미간행

변화순(1994), "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여성연구』42호, 한국여성개발원

사회과학원(1996), 계간『사상』겨울호, "동아시아의 성장과 인권", 사회과학원

서명선(1984), "아내학대에 관한 이론적 고찰",『사회복지학회지』6호, 한국사회복지학회

서선희(1995), "가족중심주의에 대한 유교적 해석",『가족학논집』7집, 한국가족학회

서울여성의전화(1999),「쉼터여성자립과 사회통합을 위한 토론회」, 미간행

성시정(1998), "IMF시대 가족주의 담론의 등장과 성 정체성의 위기",『여성학연구』제8권 제1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손봉호(1995),『고통받는 인간』, 서울대학교 출판부

신성자(2000), "아내강간의 실태와 대책",「여성인권과 아내강간 토론회」, 한국여성의전화 연합, 미간행

신용구(2000),『박정희 정신분석, 신화는 없다』, 뜨인돌

신윤옥(1992), "특집:성폭력특별법 제정추진 특별위원회",『베틀』62호, 한국여성의전화

신은주(1997), "가정폭력에 대한 지역사회의 역할과 대응 - 아내학대를 중심으로",『성평등 연구』1집, 카톨릭대학교 성평등연구소

신혜수(1999), "여성관련 국제인권협약과 여성운동",『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국여성 의전화연합 편, 한울

심영희(1994), "일상생활과 권력",『사회비평』12호, 사회비평사

-----(1995), "몸의 권리와 성 관련법의 개선안 : 권력과 성의 관계를 중심으로",『한국여 성학』11집, 한국여성학회

-----(2000), "여성인권과 아내강간",「여성인권과 아내강간 토론회」, 한국여성의전화연 합, 미간행

심혜숙/손연주(1997), "구타당하는 여성들의 심리적 특성 연구",『여성학연구』7권 1호, 부 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양현아(1999), "한국적 정체성의 어두운 기반",『창작과 비평』104호, 창작과 비평사

오영근(1998), "가정폭력특별법의 문제점",『수사연구』177호, 수사연구사

윤 진(1994), "폭력이 없는 가족",『열린 사회와 가족』, 한국여성개발원, 유네스코한 국위원회 편

이광규(1989), "후기산업시대의 가족공동체",『가족-가족의 변화와 전망』, 크리스찬 아카 데미 편, 우석출판사

이문자(2000),"가정폭력방지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여성의 눈으로』5て6월호, 한국여성 의전화연합

이선옥/이정(1996), "가족, 그 영원한 안식처에 대한도전",『여성과사회』7호, 창작과비평사

이재경(1993), "국가와 성통제 - 성관련법과 정책을 중심으로",『한국여성학』9집, 한국여 성학회

-----(1994), "현대 가족의 반 사회성",『철학과 현실』22호, 철학문화연구소

-----(1995), "정의의 관점에서 본 가족",『한국여성학』11집, 한국여성학회

이종걸(1992), "성폭력관련법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민주여성』12호, 한국여성단체연합

이현숙/정춘숙(1999), "아내구타 추방운동사", 한국여성의전화연합 편,『한국여성인권운동 사』, 한울

이화수(1984), "아내구타 설문지 조사 보고",「개원 1주년 기념 보고서」, 여성의전화

임종렬(1998), "매맞는 아내의 부부체계 개선을 위한 대상중심 가족치료",『한국사회복지 학』34권, 한국사회복지학회

장경섭(1994), "한국 가족의 이념과 실제 - 가족규범의 다중성과 내적 모순",『철학과 현 실』22호, 철학문화연구소

-----(1998), "여성, 시장, 공공가족으로서의 국가 : 재생산의 사회화와 성질서",『사회비 평』18호, 나남출판

장정순(1994),『왜 이혼 못하는가 : 이혼한 여성들의 건강한 삶 이야기』, 현민시스템

장필화(1996), "아시아의 가부장제와 공사 영역의 연구의 의미",『여성학논집』13집, 이화여 대 한국여성연구원

-----(1999),『여성.몸.성』, 또하나의 문화

전춘애(1989), "사회계층에 따른 부부의 권력과 폭력과의 관계",『대한가정학회지』27권 3 호, 대한가정학회

정유진(2000), "민족의 이름으로 순결해진 딸들?-주한 미군범죄와 여성",『당대비평』 여름호

정현경(1994),『다시 태양이 되기 위하여-아시아여성신학의 현재와미래』, 분도출판사

정희진(1999), "아내구타, 인권, 가족 가치에 관한 일고찰",「폭력 없는 사회 가꾸기 토 론회 - 99 여성폭력 실태에 대하여」, 한국여성단체연합, 미간행

조 은(1993), "가족법에 대한 사회학적 비판",『법과 사회』8호, 창작과 비평사

-----(1999), "근대 탈근대와 동아시아 가족", 「서남 이양구 회장 10주기 추모 국제학술 대회 자료집」(미간행)

-----(1999), "가족제도의 운명과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창작과 비평』103호, 창작과 비평사

조 은/조주현/이정옥(1997),『근대가족의 변모와 여성문제』, 서울대 출판부

조 형(1991), "자본주의와 가부장제 가족",『가족학논집』제3집, 한국가족학회

-----(1992), "가부장적 사회의 부부관계의 성격 - 여성사회학적 시론",『한국가족의 부부 관계』,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사회문화연구소

-----(1997), "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권력 : 구조적 무권력화와 구성적 권력화",『한국 여성학』13권 2호, 한국여성학회

조성숙(1987),「남녀 결합의 불평등 구조」, 여성의전화

조순경(1992), "여성학의 발전과 한국 사회의 변화", 『여성학논집』13집, 이화여대 한국여 성연구원

조주현(1990), "매맞는 아내의 분노",『주부, 그 막힘과 트임』, 또하나의문화

-----(1993), "근친강간에 나타난 성과 권력",『한국여성학』9집, 한국여성학회

-----(1997), "국내 성폭력 관련 연구의 동향",「국내외 성폭력 연구 동향 및 지원 체계 자료집」, 한국성폭력상담소, 미간행

-----(2000),『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또하나의문화

조혜정(1986), "공리적 가족 집단주의와 도덕적 개인주의",『현대사회와 가족』,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88),『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지성사

최규련(1996), "한국에서의 부부간 폭력에 대한 대책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최봉영(1997),『한국 문화의 성격』, 사계절출판사

최은순(1993), "여성과 형사법",『법과 사회』제8호, 창작과 비평사

최홍기(1991), "유교와 가족",『가족학논집』제3집, 한국가족학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한국 가정폭력의 개념 정립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1990),『한국가족정책에 관한 연구-여성て아동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1993),『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의전화(1992),「매맞는 아내, 깨어진 삶」, 미간행

한국여성의전화 편(1993),『그는 때리지 않았다고 한다』, 그린비

-----(1994),『쉼터이야기』, 그린비

한국여성의전화연합(1999),「가정폭력방지법, 그 평가와 대안」, 미간행

-----(2000),『여성의 눈으로』2000년 5て6월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89),『성폭력의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1992a),『한국인의 폭력에 대한 연구』

-----(1992b),『강간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1992c),『가정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1996),『성폭력의 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

-----(1998),『성폭력의 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 2』

한영란(1992), "매맞는 아내의 경험",『한국여성학』8집, 한국여성학회

한인섭(1999), "가정폭력법에 대한 법정책적 검토",『피해자학연구』7호, 한국피해자학회 편, 길안사

허남순(1993), "아내구타에 대한 대책 및 치료기법에 관한 연구", 한림대 사회복지연구소 편,『비교사회복지』2집, 을유문화사

허라금(1996), "서구 정치사상에서의 공사개념과 가부장적 성차별성",『여성학논집』13집,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 학위 논문

고선화(1996), "학대받는 부인을 위한 모자 일시 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원 광대 석사논문

권수현(1998), "남성성과 성폭력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권진숙(1996), "배우자 학대 부부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김갑숙(1990), "부부갈등이 부부폭력과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 박사논문

김경호(1997), "매맞는 아내에 대한 여성중심적 사회사업적 개입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김경화(1986), "아내학대 영향 변인에 관한 조사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김경희(1996), "폭력가정 청소년의 가족 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김미옥(1990), "아내학대에 관한 연구-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효성여대 석사논문

김선화(1998), "기독교인의 가정폭력 의식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 석사논문

김영아(1995), "영남지역에서의 아내구타남편의 정신 사회적 특성", 경북대 석사논문

김윤상(1999), "정보사회의 '탈육체' 경향과 물리적 고통의 문제", 연세대 석사논문

김이화(1988), "아내학대 척도에 관한 연구", 효성여대 석사논문

김정기(1995), "교사의 지각을 통해 본 가정폭력에 대한 조사 연구", 인하대 석사논문

김정숙(1986), "가정내의 폭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아내구타 사례를 중심으로", 효성여대 석사논문

김정옥(1987), "도시부부의 폭력행위에 관한 연구 - 아내에 대한 폭력을 중심으로", 영남대 박사논문

김지영(1995), "학대받는 아내들을 위한 사회복지 관련기관의 서비스 현황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논문

김진명(1992), "의례 및 일상생활을 통해 본 가부장적 담론과 권력", 서울대 박사논문

김진복(1996), "한국에서의 배우자 학대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김현정(1999), "여성운동과 국가의 관계에 관한 연구-성폭력특별법과 가정폭력방지법 제정 운동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석사논문

김혜경(1997), "가정폭력 및 대중매체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 석사논문

김혜련(1993), "여성의 이혼경험을 통해 본 가부장적 결혼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김혜선(1995), "아내구타의 발생과 지속과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노주희(1997), "성폭력범의 합리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 석사논문

노치영(1988), "가정폭력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석사논문

문경서(1993), "구타당하는 아내의 무기력, 자아 강도 및 자아기능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 사논문

박경규(1994), "기혼남성의 스트레스와 폭력과의 관계분석", 효성여대 박사논문

박미은(1998), "매맞는 아내들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박언주(1996), "가사노동을 둘러싼 부부갈등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박현이(1996), "비행 청소년의 여성관과 성폭력과의 관계", 서강대 석사논문

박혜경(1992), "여성의 경험을 통해본 결혼과 사랑의 관계에 관한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서명선(1985), "아내학대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화여대 석사논문

성정현(1998), "성 역할 태도와 이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손정영(1998), "아내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도시 중산층 부부를 중심으로", 경 희대 박사논문

신수진(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대 박사논문

신은주(1994), "아내학대에 관한 페미니스트접근에 관한사회사업적 분석", 서울대 박사논문

심재근(1984), "가정내의 폭력과 공격성", 고려대 석사논문

안영희(1998), "기혼남녀의부부폭력 태도와 경험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 박사논문

양우식(1998),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위기상담 연구", 한신대 석사논문

오정진(1995), "아내 구타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옥선화(1989),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 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유도희(1997), "부부폭력이 자녀학대와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효성가톨 릭대 박사논문

윤명숙(1988), "알콜 중독자의 아내학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이경희(1995), "상담 사례를 통해 본 매맞는 아내의 가부장적 결혼에 대한 연구 - 영남지 역을 중심으로", 계명대 석사논문

이관숙(1988), "아내학대의 실태와 그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 석사논문

이상덕(1997), "성폭력특별법 입법 과정에 대한 분석적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이서원(1997), "열등의식과 성 역할 태도가 아내구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빈곤가 구를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이승렬(1995), "아내구타에대한 사회적대책 및 쉼터운영에대한 비교연구", 계명대 석사논문

이영란(1997), "아내구타에 대한 여성주의적 목회상담 방법론", 연세대 석사논문

이영희(1993), "가정 내 폭력의 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 석사논문

이현혜(1992), "자아 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 및 결합력이 아내학대에 미치는 영향", 효성 여대 석사논문

이희영(1996), "부부폭력 경험의 질적 연구-남편과 아내의 경험비교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논문

임상규(1996), "가정폭력에 대응한교회의역할-''아내폭력''을 중심으로", 서울신학대석사논문

장덕자(1998), "구타남편의 폭력성에 관한 연구-알코올 가족을 중심으로", 계명대 석사논문

장혜순(1995), "가정폭력이 자녀의 폭력성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석사논문

전성휘(1997), "가정폭력 방지를 위한 법적 대책에 관한 연구-아내구타를 중심으로", 강원 대 석사논문

전춘애(1989), "사회 계층이 다른 부부의 권력과 폭력과의 관계", 이화여대 석사논문

전형미(1990), "남편의 스트레쓰가 아내학대에 미치는 영향", 효성여대 석사논문

정복희(1995), "아내학대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효성여대 석사논문

정서영(1995), "부부간의 심리적 신체적학대 대처양식과 개인의 적응감",숙명여대 석사논문 정숙영(1997),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정환경과 스트레쓰를 중 심으로", 경기대 석사논문

정춘숙(1997), "매맞는아내에대한 여성주의적집단상담의 효과에관한 연구", 중앙대석사논문

조연규(1990), "부부폭력의 역학 조사", 한양대 석사논문

채수진(1999), "아내구타 피해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최미영(1996), "아내학대의 원인과 실태 및 그 대책에 관한 연구", 동아대 석사논문

한미자(1996), "학대받는아내들을 위한 쉼터운영의 개선방안에대한연구",대구대석사논문 한영란(1996), "구타당하는 아내의 경험에 대한 간호학적 탐색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홍순애(1996), "가족 내 폭력행위의 실태와 그 대책 방안 -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학대받 는 아내를 중심으로", 한남대 석사논문

황경숙(1998), "매맞는 아내의 완벽주의 성향과 성 역할 태도와의 관계", 서강대 석사논문

황혜숙(1998), "아내구타문제에대한 태도조사를기초로 한사업사업가의역할",대구대석사논문

* 번역서

그렌트 마틴(1996),『가정폭력과 학대』, 김 연 역, 도서출판 두란노

다이애너 기틴스(1997),『가족은 없다 - 가족이데올로기의 해부』, 안호용 外역, 일신사

제랄드 C. 데이비슨과 존 M. 닐(1999),『이상심리학』, 이봉건 역, 시그마 프레스

델 마틴(1984),『매맞는 아내』, 곽선숙 역, 홍성사

리사 터틀(1999),『페미니즘 사전』, 유혜련/호승희 역, 동문선

리처드 겔즈(1998),『가정폭력의 허상과 실상』, 이동원/김지선 역, 길안사

리타 루 클라크(1989),『구타당하는 아내:가정폭력과 목회상담』,권희순 역, 한국신학연구소

리타 펠스키(1998),『근대성과 페미니즘』, 김영찬/심진경 역, 거름

린 챈서(1994),『일상의권력과새도매저키즘:지배의논리와속죄양만들기』,심영희역, 나남출판

마리아 미에스(1986), "여성해방주의연구방법론을위하여",『여성학의이론』,을유문화사

-----(1989), "가부장제도와 자본축적",『가족 - 가족의 변화와 전망』, 크리스찬 아카데미 편, 우석출판사

맥카넬 외(1998), "폭력て권력て쾌락 - 피해자의 관점에서 다시 읽은 푸코",『푸코와 페 미니즘-그 긴장과 갈등』, 동문선

메리 데일리(1996),『하느님 아버지를 넘어서』, 이화여대 출판부

미리암 그린스펀(1995),『우리 속에 숨어 있는 힘』, 고석주 역, 또하나의문화

반 보벤(1998), "군사적 분쟁시 여성의 인권",「아시아의 여성인권 : 무력 갈등과 성폭 력」,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외 편

배리 쏘온(1991),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 사이토 사토루(1997),『가족이라는 이름의 고독』, 조영환 역, 일우당

상탈 무페(1995), "페미니즘, 시민권 그리고 급진적 민주정치", 미셀 푸코 外 지음,『미셀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황정미 편역, 새물결

수잔 브라운밀러(1994),『성폭력의 역사』, 편집부 편, 일월서각

스기하라 야스오(1995),『인권의 역사』, 석인선 역, 한울

스코트 펙(1997),『거짓의 사람들』, 윤종석 역, 도서출판 두란노

실비아 월비(1996),『가부장제 이론』, 유희정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앨리슨 재거(1992),『여성해방론과 인간본성』, 공미혜/이한옥 역, 이론과 실천

에릭 홉스봄(1997),『극단의 시대 : 20세기 역사, 상하』, 이용우 역, 까치

에린 피찌(1986),『조용히 소리질러라 이웃이 듣는다』, 여성의전화 기획, 김진숙/박 은주 역, 일월서각

엘리 자레스키(1983),『자본주의와 가족제도』, 김정희 역, 한마당

윌리엄 마이쓰너(1998),『편집증과 심리치료』, 이재훈 역,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재니스 뮬톤 외(1987), "여성의 일과 성역할",『지배로부터의 자유』, 한국여성개발원

재크린 살스비(1985),『낭만적 사랑과 사회』, 박찬길 역, 민음사

존 먼더 로스(2000),『왜 자기 자신을 학대하는가』, 류지호 역, 문학사상사

줄리아 크레인/마이클 앙그로시노(1996),『문화인류학 현지조사 방법』, 김성례/한경구 역, 일조각

줄리엣 미첼(1984),『여성의 지위』, 이형랑/김상희 공역, 동녘

캐롤 M. 앤더슨/수잔 스튜어트(1998),『단독 비행』, 엄영래 역, 도서출판 또하나의문화

캐롤 타브리스(1999),『여성과 남성이 다르지도 똑같지도 않은 이유』, 히스테리아 역, 또 하나의문화

캐롤린 라마자노글루(1997),『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김정선 역, 문예출판사

케이트 밀레트(1976),『성의 정치학』상하, 정의숙/조정호 공역, 현대사상사

크리스 위든(1993),『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조주현 역, 이화여대 출판부

토마스 자즈(1995),『고통과 쾌락-신체감각의 정체』, 이남표 역, 학지사

티 그레이스 애트킨슨(1983), "급진적 여성해방론과 사랑",『여성해방의 이론체계』, 신인령 역, 풀빛

하니 로젠버그(1991),『소련 여성과 페레스트로이카』, 최광렬 역, 한울

하이디 하트만(1988), "성, 계급, 정치투쟁의 장으로서의 가족", 이효재 편,『가족 연구의 관 점과 쟁점』, 까치

한나 아렌트(1999),『폭력의 세기』, 김정한 역, 도서출판 이후

해리엣 브레들리(1996), "변화하는 사회구조, 계급과 성", 스튜어트 홀 外 지음,『현대성과 현대문화 2』, 현실문화연구

* 신문

중앙일보, 1998년 8월 17일자, "아내 윤락 강요 후 '돈 못 번다' 폭행"

중앙일보, 2000년 4월 12일자, "허니문 '성격차이' 서로 조심을"

조선일보, 2000년 2월 28일자, "日 여성들, 죽도록 맞는다-기혼 20명 중 1명 '생명위협' "

한겨레신문, 2000년 4월 3일자, "여성핫라인-때리는 남편들도 가부장제 희생양"

한겨레신문, 2000년 3월 18일자, "별거아내 대학 교내서 살해"

내일신문, 2000년 3월 2일자, "가정폭력, '병'이 아니라 '버릇' "

여성신문, 2000년 5월 6일자, "내 아내니까 인두로 지지고 생 이빨 뽑는다"

*외국 문헌

Archer, John(1994), "Power and Male Violence", Male Violence, Routledge

Bart & Morgan(eds)(1993), Violence Against Women : The Bloody Footprints, SAGE Publications

Bartky, S.(1990), Femininity and Domination : Studies in the Phenomenology of Oppression, Routledge

Bell, Linda A.(1993), "The Role of Violence in Ethics", Rethinking Ethics in the Midst of Violence : A Feminist Approach to Freedo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Borkowski & Murch & Walker(1983), Marital Violence - The Community Response, Tavistock Publications, London and New York

Brison, Susan J.(1997), "Outliving Oneself: Trauma, Memory, and Personal Identity", Feminists Rethink the Self, Westview Press

Campbell, Jacquelyn C.(1992), "Wife Beating: Cultural Contexts versus Western Social Sciences", Counts, Dorothy Ayers & Brown, Judith K. & Campbell, Jacquelyn C.(eds)(1992), Sanctions & Sanctuary: Cultural Perspectives on the Beating of Wives, Westview Press, Inc.

Charlesworth, Hilary(1994), "What are Women`s International Human Rights?", Human Rights of Women -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Cook, Rebecca J.(1994), "Domestic Violence as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Issue", Human Rights of Women -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Coomaraswamy, Radhika(1994), "To Bellow like a Cow : Women, Ethnicity, and the Discourse of Rights", Human Rights of Women -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Copelon, Rhonda(1994),"Intimate Terror : Understanding Domestic Violence as Torture", Human Rights of Women -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Daly, Mary(1978), Gyn/ecology : The Metaethics of Radical Feminism, Beacon press

Davis, Gould Elizabeth(1975), "Women in the Middle Ages", The First Sex, Penguin Books

Dobash R. Emerson & Dobash P. Russell(1992), Women, Violence and Social Change, Routledge

Duiven, Stephanie(1997), "Battered Women and the Full Benefit of Self-Defense Laws", Berkeley Women`s Law Journal vol. 12

Edleson, Jeffrey L. & Frank, Marilyn D.(1991), "Rural Interventions in Woman Battering : one State`s Strategies", Families in Society :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November 1991

Edwards, Anne(1987), "Male Violence in Feminist Theory: an Analysis of the Changing Conceptions of Sex/Gender Violence and Male Dominance", Hanmer & Maynard (eds). Women, Violence and Social Control, Humanities Press International

Edwards, Susan. S. M.(1987), " 'Provoking Her Own Demise': From Common Assault to Homicide", in Hanmer & Maynard (eds). Women, Violence and Social Control, Humanities Press International

-----(1991), "Policing 'domestic violence'", Abbott & Wallace eds., Gender, power and sexuality, Macmillan

Eichler, M.(1988), Nonsexist Research Methods - A Practical Guide, London, Allen & Unwin

Frude, Neil(1994), "Marital Violence: an Interactional Perspective", Male Violence, Routledge

Gelles, Richard(1983), "An Exchange/Social theory", The Dark Side of Families, D.Finkelhor, R.J.Richard, G.T.Hataling & M.A.Straus eds., SAGE Publications

Gordon, Linda(1988), Heroes of Their Own Lives: The Politics and History of Family Violence, Boston 1810-1960, VIRAGO PRESS

Hanmer, Jalna & Maynard, Mary(1987), "Introduction : Violence and Gender Stratification", Women, Violence and Social Control. Humanities Press international, INC.

Heise, Lori L.(1995), "Violence, Sexuality, and Women's Lives", Conceiving Sexuality - Approaches to Sex Research in a Postmodern World., Routledge

Hester, Kelly & Radford eds.(1996), Women, Violence and Male Power, Open Univ. Press: Buckingham

Johnson, Michael P.(1995), "Patriarchal Terrorism and Common Couple Violence: Two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 57, published by the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Kelly, Liz(1988),"How Women Define Their Experience of Violence", Yllo & Bograd (eds), Feminist Perspectives on Wife Abuse, SAGE publications

Kerry, Lobel ed.(1986), Naming the Violence - Speaking Out about Lesbian Battering, The Seattle Press.

Kurz. D.(1993),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Wife Abuse : Curr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Bart, Pauline B. & Morgan, Eileen Geil eds., Violence Against Women: The Bloody Footprints, SAGE Publications

Lorber, Judith(1994), Paradoxes of Gender, Yale Univ. Press

Lupton, Carol & Gillespie, Terry eds.,(1994), Working with Violence , Macmillan

MacKinnon, Catharine A.(1982), "Feminism, Marxism, Method and the State: An Agenda for Theory", Signs 7:515-44

-----(1987), Feminism unmodified, Harvard Univ. Press

Merry, Sally Engle(1995), "Wife Battering and the Ambiguities of Rights", Sarat, Austin & Thomas R. Kearns eds., Identities, Politics, and Rights, The Univ. of Michigan Press

Moore, Henrietta(1994), "The Problem of Explaining Violence in the Social Sciences", Harvey, Penelope & Gow, Peter (eds), Sex and Violence-Issues in Representation and Experience, Routledge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Understanding Violence Against Women, National Academic Press:Washington, D. C.

Neft & Levin(1997), "Violence Against Women", An International Report on the Status of Women in 140 Countries, Random House

Ouljic, Maria B.(1998), "Embodiment of Terror : Gendered Violence in Peacetime and Wartime in Croatia and Bosnia-Herzogovina," Medical Anthropology, Vol.12, No 1., March,

Ptacek, James(1988), "Why Do Men Batter Their Wives?", Yllo & Bograd eds., Feminist Perspectives on Wife Abuse, SAGE publications

Rowbotham, S.(1973), Woman`s Consciousness and Man`s world, Penguin Books

Scarry, Elaine(1985),『Body in Pain -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Worl d』, Oxford Univ. Press

Stets, Jan E.(1988), Domestic Violence and Control, Springer-Verlag

Schechter, Susan(1982), Women and Male Violence - The Visions and Struggles of the Battered Women`s Movement, South End Press

Theweleit, Klaus(1997), Male FantasiesⅡ, Minneapolis : Minnesota Press

U.N.(1993),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Walker, Gillian A.(1990), Family Violence and the Women`s Movement : The Conceptual Politics of Struggle, Univ. of Toronto press

Walker, Lenore E.(1979), The Battered Woman, Harper & Row Publishers

Willis, Paul(1980), "Notes on Method", Stuart Hall etc. eds., Culture, Media, Language : Working Papers in Cultural Studies:1972-1979, Routledge

Yllo, Kersti A.(1984), "The Status of Women, Marital Equality, and Violence Against Wives - A Contextual Analysis", Journal of Family Issues, Vol.5, No.3

-----(1993), "Through a Feminist Lens Gender, Power, and Violence",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Gelles & Loseke, eds.,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