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91

제인구달의 젊은 시절 언젠가 제인구달이 나오는 다큐를 본 적이 있다. 다큐 중간에 제인은 아주 조용하고도 별 사실이 아니라는 듯이 "00는 권력을 좋아하지 않아요. 그는 서열엔 관심이 없죠" 또한 "!!는 특하면 싸움을 걸어 자신의 위치를 확인받으려 하죠. 그는 권력을 원해요"라고 말했다. 그녀는 우리 눈에 비슷한 한무리의 원숭이를 하나하나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특징, 습성을 알고 있었다. 더구나 한 원숭이가 동물의 습성인 무리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에 관심이 없다는 사실까지 단정지어 말했다. 말을 하는 한 인간의 내면도 속속들이 알기 어려운 이 세상에 그녀같이 다른 이의 마음을, 본성을 알아낸다는 것이 나에게는 참 놀랍게 다가왔다. 나는 그 다큐를 볼때까지 그녀에 대해서 몰랐었다. 그녀가 스물여섯살때 탄자니아의 한 국립.. 2005. 2. 28.
[한겨레] ''100분 토론’을 다시 생각한다 '100분 토론’을 다시 생각한다 [한겨레] 우리 사회의 악습 중의 하나는 찬반 토론회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 사회에는 이분법 논리가 만연하여 사회 전체의 상상력과 관계를 죽이고 있는데, 찬반 토론회는 이러한 사유를 증폭시키고 정상화한다. 이분법 논리는 ‘가’와 ‘나’가 아니라 ‘가’와 ‘안티 가’의 관계라는 점에서, 이분법은 둘의 대립의 아니라 하나의 확장, 곧, 획일주의다. 찬반으로는 성립할 수 없는 주제를 찬반 형식의 틀에 끼워 넣는 경우, 찬반 기준의 외부에 있는 논리, 찬반 논리로는 이해할 수 없는 제3, 제4의 다양한 경우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군 위안부’ 가해자인 일본 정부가 사실 자체를 부정, 왜곡하는 상황에서, 문화방송의 〈100분 토론〉에서 이영훈 교수의 발언에 대한 ‘여론’의 분.. 2005. 2. 28.
[인물과사상] 멈춘 진보와 ‘이영훈 사건’ '이영훈', 진보, 한국사회 /정희진 , 2004년 12월호멈춘 진보와 ‘이영훈 사건’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무지몽매한 한국 남성들을 깨우쳐 주는 감동적 에세이를 써 달라”는 의 청탁 의도에 도전하고 싶다. 나는 모든 남성이 여성문제에 대해 ‘무지몽매하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남성을 깨우치는 데’도 별 관심이 없다. ‘여성주의 정치학’이 내 삶의 다양한 준거 중의 하나인 것은 사실이지만, 나는 오히려, 그러한 이유로 내가 ‘계몽적인 인간’이 될까봐 몹시 두려워하는 사람이다. 계급, 지역, 학벌, 성별 제도 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해, 지배 규범과 다른 입장을 가진 사람들은 어느 순간 타인을 설득하는 위치에 서지만, 그것이 그 사람이 가진 정치적 입장의 전부는 아니다. 사안에 따라, 동일한 사람이 계몽.. 2005. 2. 28.
<영화 오아시스> 니들이 ''비정상인''을 알아? 니들이 '비정상인'을 알아? [오마이뉴스 2002-10-24 12:51] #1. 니들이 비정상 맛을 알아? 를 보고 와서 한참을 생각했다. 우리나라는 정상인들의 천국이다. 그리고 그 정상인이라는 특권은 신체에 아무 지장 없는 성인 남성에게 한정된다(권력, 돈 등은 옵션이다). 외국에서 버스를 타는데 그 안에는 누구나 손이 닿을 만한 위치에 벨이 있었다. 최근 들어 '어린이벨'이라고 하차문 옆에 구색을 맞추려는 듯 설치해놓은 버스가 몇몇 등장하곤 있지만, 어린 시절 버스를 타면 벨을 누르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른 경험이 있는 나로서는 매우 놀라운 경험이었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난 하차벨이라고 하는 것은 장난치지 말라고 높은 곳에만 두는 것인 줄로만 알고 있었던 거다. 그리고 어린 나는 생각했었을 것이다. .. 2005.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