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91

[씨네21] 아버지 날 낳으시고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아버지 날 낳으시고 글 : 정희진 (대학 강사) | 2007.03.09 투표일까지 많은 변수가 있겠지만, 이명박, 박근혜 후보가 1, 2위를 다투는 상황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다양한 선택권 차원에서 볼 때, 불행을 넘어 ‘비참’한 생각까지 든다. 두 사람의 정치적 입장과 출신 배경이 모두 유신체제이고, 이들은 결국 누가 더 본질적으로 ‘박정희 원본’에 가까운지를 경쟁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인이다. 그런데 지난 1월 두 사람 사이에 오간 논란 중에 두 가지 측면에서 아주 이상한 내용이 있었다. 이명박씨가 박근혜씨를 두고, “나처럼 애를 낳아봐야 보육을 얘기할 수 있고, 고3을 4명 키워봐야 교육을 이야기할 자격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이에 박근혜 후보는 “그런 논리대로라면 군.. 2007. 6. 15.
[씨네21] 약자의 테러, 강자의 전쟁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약자의 테러, 강자의 전쟁 글 : 정희진 (대학 강사) | 2007.03.30 사랑이나 전쟁은 상대방의 존재가 자기 인식과 깊이 연결해 있어서 본래 승부를 가릴 수 없는 모순된 행위다. 우리-속국-동맹-적은 나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이지 배타적 범주가 아니다. 나-연인-연적도 마찬가지다. 자타 경계를 구별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람들은 “내가 저런 인간에게 목을 맸단 말인가”라며 사랑이 끝난 뒤 자기 모멸감으로 괴로워하고, “겨우 계집애랑 붙으란 말이냐”, “세계 최강을 상대로…” 식으로 모든 싸움에서 상대의 ‘체급’을 확인한다. 군수산업체나 안보 국가처럼 전쟁이 존재해야만 먹고살 수 있는 정체(政體??)들은 언제나 전쟁의 불가피성을 설파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온갖 모순어법이 .. 2007. 6. 15.
[한겨레21] 만국의 불안정한 자여 공모하라 2007년04월12일 제655호 통합검색 [인터뷰특강] 만국의 불안정한 자여 공모하라 정희진과 함께한 ‘누구의 자존심? 자존심의 경합’- 자존심은 관계 속의 개념, 약자들의 연대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내야 제4회 인터뷰 특강- 자존심 ⑤ ▣ 글 손은영 13기 독자편집위원▣ 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강연은 시작되자마자 폭소의 도가니였다”라고 일단 말해두자. 서글서글하면서 빠른 말투는 청중을 휘어잡기 충분했고, 거기에 청중을 폭소하게 만드는 일화들이 더해져 강연장은 처음부터 끝까지 활기찼다. 지난해에 강연을 들었던 사람이 반일 정도로 정희진씨의 마력은 ‘중독성’이 있는 듯. 이번에 처음 그의 강연을 들었는데 다음에도 꼭 강연을 듣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사회자 서해성씨는 어느 때보다.. 2007. 6. 15.
[씨네21] 타인의 삶과 FTA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타인의 삶과 FTA 글 : 정희진 (대학 강사) | 2007.04.20 나 같은 무력한 소시민이 이런 염려를 하는 것도 우습지만, 영화 을 ‘자유의 소중함’으로 읽는 사람이 있으면 어쩌나 걱정이 된다. 이 영화의 주제를 자유라고 본다면, 아카데미가 환호할 만하다(최우수 외국어영화상을 탔다). 물론, 나도 이 영화가 좋았다. 복잡하고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도드라진 감동은 두 가지. 삶을 사랑하는 인간은 누구나 의미를 추구한다는 것, 즉 모든 사람이 결국 원하는 것은 자기를 변화시키는 심장의 박동(stroke)을 선사하는 타인의 존재다. 머무르지 않으려는 인간은 언제나 아름답다. 그리고 가택 수색 뒤 부서진 가구를 보상해주는 사회주의의 ‘위대함’!(이 영화의 동독 체제를, 감히 지난.. 2007.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