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91

[씨네21] 그는 ''한국인''인가 ''남성''인가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그는 ‘한국인’인가 ‘남성’인가글 : 정희진 (대학 강사) | 2007.05.11 9·11 사건 이후, 서방세계에서 이슬람과 관련한 국적, 인종, 종교에 대한 이미지는 곧바로 테러를 연상시킨다. 당시 미국에서는 이슬람에 대한 증오가 ‘유색인’ 전체로 확대되어 아시아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무차별 구타 같은 대중의 보복과 그 공포 때문에 거리에 나서지 못할 정도였다. 9·11은 ‘이슬람 남성’에 의해 저질러졌지만, 이들 ‘가해자’의 복합적인 정체성 중 “이슬람”만 강조되었을 뿐 “남성”이라는 성별은 뉴스거리가 되지 못했다. 모든 대중매체에서 9·11 사건은 종교적, 정치적 차원에서만 분석되었지, 성별(남성성)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당시 미국 언론들은, 테러범들이 .. 2007. 6. 15.
[신동아] 서평 - 기지촌의 그늘을 넘어 ‘기지촌의 그늘을 넘어’ 신동아 | 기사입력 2007-05-25 10:06 ‘기지촌의 그늘을 넘어’ 여지연 지음, 임옥희 옮김/삼인/432쪽/1만8000원 미국 남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은 한국인인가 미국인인가? 물론, 미국 여성과 결혼한 한국 남성에게는 이런 질문이 제기되지도 않을 것이다. 혈연적 민족국가의 지속은 여성의 성(sexuality)을 매개, 정확히 말하면 통제함으로써만 가능하다. ‘단일민족’을 지속시키려면, 한국 여성이 외국 남성과 결혼(섹스)하지 말아야 한다. 이 때문에 오랜 세월 한국 사회에서 국제결혼은 ‘오염’으로 의미화해 ‘혼혈’로 불려졌다(같은 민족끼리 결혼해도 피가 ‘섞이는’ 것은 마찬가지인데 말이다). 그래서 외국인, 그것도 남의 나라에 주둔(‘점령’)한 군인과 결혼해 미국으로 .. 2007. 6. 15.
[씨네21] 나쁜 남자의 선물 경제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나쁜 남자의 선물 경제 글 : 정희진 (대학 강사) | 2007.06.01 UCC 광고에 이런 문구가 있다. “나는 나쁜 남자 감별법을 알려주는 UCC를 알아요”. 나쁜 남자(혹은 여자) 매뉴얼이 있어서, 그런 사람을 피해서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으랴. 문제는 어떤 유형이 나쁜 남자인지 판단이 어렵고, 어차피 상처는 (상대방의 문제와 무관한 나의/사회의)해석이라는 데 있다. 고통과 저항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을 전복하는 감동의 명화 에는 주인공이 사랑한 네댓 명의 남자가 나오는데, 하나같이 최악이다. 폭력과 알코올은 기본. 다른 남자랑 자게 하고 돈벌어 오라며 성매매를 강요하고 여자 앞에서 자살하고…. 극장에서 나오면서 이 중 누가 제일 나쁜 남자일까? 생각해보았다. A를 떠올리는.. 2007. 6. 15.
낭만적인 잠수부의 작은 눈 낭만적인 잠수부의 작은 눈 - 이 산며칠째 달라붙은 눈雪이 기와지붕에 입체로 남는다얕은 물결을 만든다그 아래에 누워 나는 매일 밤 어느 바다따뜻한 해변으로 닿는 파도의 피부원양어선이 담기는 수심쯤으로 꿈을 밀어 보내는 것이다아랫집에선 아직 아무 소리가 없다저녁이 되면 혼자 사는 그 여자는 TV 소리를 크게 키우곤 했다그 속에서 자란 목소리들 해바라기처럼 달아올라내 방을 기웃거리기 시작한다기상캐스터는 내일의 날씨를 따라 변덕스러웠고 때로아나운서의 비장한 음색을 흉내 내며 두꺼운 책의 행간을 쫓아가는 밤심해어처럼 그 속을 비집고 다니던 여자는 나를 알지 못했다우리는 언젠가 설탕을 빌리는 사이가 되고구석에 앉아 마지막 담배를 나눠 피울 수도 있겠지만 가끔씩 수도꼭지 수압이 낮아질 때면나는 밸브를 닫아그녀의 해.. 2007. 5. 31.